스틸하우스

폐기물이 거의 없는 튼튼한 집, 스틸하우스
엄밀한 의미에서 스틸 하우스란 구조체 전체가 스틸 스터드로 이루어진 집을 말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스틸 하우스에 사용되는 'ㄷ'자형 구조재를 통칭하며 아연 도금된 구조용 냉간성형강을 뜻한다.
기본적 구조는 벽식구조로 수직부재(스터드)와 벽면 상하의 수평부재 (트렉), 바닥이나 천장을 받쳐주는 장선부재(조이스트)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구조체는 스크류와 전동기 등을 이용하여 접합된다.
스틸 스터드 외에 다른 구조재와 병행할 수도 있는데 보통은 장스팬을 보강하기 위해 형강을 많이 사용한다.
스틸하우스의 특성
- 견고하고 튼튼한집
- 완벽한 내진설계를 자체내에 갖춤으로써 높은 강도의 지진에도 견딜 수 있는 견고하고 튼튼한, 강풍과 태풍에도 강한 구조의 주택 유형이다. 주택의 튼튼함을 규정하는 기준점이 더 이상 건축소재의 질감이나 외형적 견고함에만 머물러서는 안된다는 점이 더욱 명확해지는 좋은 예이기도 하다. 주택은 가족 활동 공간으로써의 실용성과 건축물의 안전성에 더 많은 중요성이 대두된다.
- 리사이클링 가능한 친환경 주택
- 스틸하우스는 목조주택과 마찬가지로 건식공법이 적용된다. 건축 시 현장에서 건축쓰레기 발생이 적으며 해체 시에도 100%분리수거와 재활용이 가능하다. 최악의 경우에도 스틸스터드는 용광로를 거쳐 또 다시 스틸 소재로 리사이클링 되는 환경친화적인 소재라 할 수 있다. 특히, 세계 최고의 철강 생산국인 우리나라에서 한 해 고철 수입량은 약 30억 달러 이상이 되므로 스틸하우스는 우리 후손에게 집 한 채 만큼의 지하자원을 물려주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 고효율&쾌적한 환경
- 스틸하우스는 중단열재와 공기층 단열 그리고 외단열재라는 3중의 단열제가 벽체를 형성함으로써 타 건축공법에 비해 높은 단열성과 차음성을 보장한다. 한편 벽체에 형성된 공기 흐름 층을 통해 타이벡에서 배출되는 생활습기와 외부의 습기가 자연적으로 배출됨으로써 스틸하우스 자체의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다.
- 자유로운 설계
- 설계자가 상상한대로 디자인이 가능하며 미학적 아룸다움의 추구가 가능하다. 스틸하우스는 기존에 선보이고 있는 모든 내외장재의 마감이 가능하다. 따라서 내외장재를 건축주 혹은 설계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자유롭고 다채로운 공간을 창출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대리석 등의 석재마감이나 브릭계열, 목재마감 등으로 고급주택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으며 설계자의 미학적 상상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 여유로운 내부면적과 뛰어난 가변성
- 스틸하우스의 벽체는 마감재의 적용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200~300mm 이내이며 내벽은 120~190mm 정도로 일반콘크리트 주택이나 조적조 주택에 비해 같은 건축면적을 기준으로 했을 때 3~5% 정도 더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주거 전용면적이 늘어나는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탁 트인 거실과 수직, 수평 공간의 활용이 자유롭기 때문에 보다 넓은 실내공간 활용과 제약 없는 인테리어 디자인이 가능하며 평면 가변의 경우 기존 자재를 그대로 해체하여 그것으로 재조립이 가능해 리모델링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 신뢰할만한 안전성
- 연도금된 스틸스터드는 비틀어지거나 휨 현상이 없어 오랜 세월 반영구적으로 상태보존이 가능해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해충에 의한 피해가 없다는 점도 목조주택에 비해 차별화할 수 있는 점, 또한 주택 화재 시 유독가스를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안전한 대피가 가능하다. 다만, 화재에 장시간 노출되어 구조재까지 불길이 닿는 경우, 높은 열전도율에 의해 구조재가 주저앉을 수도 있음은 감안해야 할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