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NU

철근콘크리트주택

튼튼한 집의 대명사, 철근 콘크리트 주택

철근콘크리트(RC)구조는 기둥, 보, 내력벽, 바닥 슬래브 등의 주요 구조부가 철근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일체식 구조를 말한다.
철근은 인장력에 강하고 콘크리트는 압축력에 강하다. 또한 이들은 팽창 계수가 유사하므로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면 우수한 구조 성능을 나타낸다. 이러한 재료적 특징을 이용한 것이 철근 콘크리트 주조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구조 강성이 크고 내구성, 내화성, 내진성 차음성이 좋다. 그렇기에 각종 건물, 아파트, 빌라, 단독주택 등에 매우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공법이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특징

가장보편화 된 공법이며 구조 강성이 우수
소비자들이 많이 본 친숙한 공법으로 물성이 단단하기에 구조적인 안정감을 준다. 구조 전체의 일체화로 구조적 성능이 우수하며 풍압과 지진에도 강하다. 그러나 어떤 공법도 마찬가지겠지만 잘못된 시공 관리로 균열이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 붕괴 되는 경우도 있다. 그렇기에 아무리 휼룡한 공법을 채택하더라도 정확한 시공 방법을 따르지 않으면 안된다.
내구성, 내화성, 차음 성능이 우수
다른 공법의 소재에 비해 내구성이 좋다. 노출된 콘크리트는 산성비에 부식되는 경향이 있으나 대부분 내외장재로 매입되므로 비바람 등에 잘 견디고 오래간다. (노출콘크리트 공법의 경우 구조재가 그대로 의장재가 되기도 한다.) 또한, 내화성이 좋고 면밀도가 높아 차음성이 우수해 세대 간 경계벽 적용에 유리하다. 그러나 충격음으로 층간 소음은 있을 수 있으므로 방진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보강이 필요하다.
재료구입 및 업체선정 용이
앞서 말한바와 같이 가장 보편적인 공법이므로 시중에서 재료구입이 쉽고 시공업체가 많아 가까이에서 시공사를 선정하기 좋다. 그러나 경쟁이 치열하다보니 가격경쟁력을 위한 견적을 내는 경우가 많으므로 비용을 조금 더 지불하더라도 품질 관리를 제대로 할 수 있는 업체를 선정해야 한다. 부분 공정의 현장 경험만으로 전체 범위의 시공을 수행하는 경우를 많이 보는데 이는 환자가 무면허 의사에게 진료를 받는 것과 다르지 않다. 주택 건축은 터파기와 구조체 시공에서부터 최종 마감과 하자 예방을 생각하고 적절한 디테일을 제시할 수 있는, 종합 관리 능력이 있는 지휘자를 시공사로 선정해야 한다.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단점

복잡한 디자인 구현이 어렵고 비용이 높다
요즈음 많이 요구되는 서구식 디자인의 주택을 소화하기에는 거푸집 조립과 철근 배근이 까다롭고 경사가 심한 지붕의 형상을 만드는데 재료비와 목수 인건비가 많이 들어 이런 디자인을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구현하는 것은 비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형태가 비교적 단순하고 장중한 이미지를 낼 경우에는 적합하나 시멘트 독이 장시간 발생한다는 이유로 친환경, 웰빙 중심의 전원주택분야에서는 많이 사용하지 않는 편이다.
습식 일체화 구조로 난방비가 높다
소재의 단열성능이 떨어지고 습식 일체형 구조로 건식구조체보다 난방비 부하가 커 난방비가 많이 든다. 단열성이 떨어지는 부분이 발생하기 쉬워 부분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일정량의 수분을 포함하는 구조로 매우 차가운 소재이기도 하며 여름에는 태양 복사열을 방산하는 축열 기능도 하므로 냉난방 부하가 크다.
장마철 쾌적한 실내 환경 구현 어렵다
철근콘크리트도 습도 조절 능력이 어느 정도 있으나 목재에 비해서는 현저히 떨어지는 편이다. 여름철 장마기에는 실내가 눅눅하고 통풍이 안 되는 부분에는 곰팡이가 피기 쉽다. 지하 구조물은 통풍을 위한 Dry Area나 선큰 가든 등을 이용해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어려운 폐기물 처리
다른 공법의 자재에 비해 강도가 커 분쇄가 어렵고 재활용되거나 소각처리 가 되지 않아 페기물량이 많다. 이로 인해 위탁 처리시에도 비용이 많이 드는 편이다. 또한 소음과 비상 먼지로 인한 민원이 발생하는 등 다른 공법에 비해 환경면에서도 불리하다.